양림동 소녀

양림동 소녀 | 2022 | 다큐, 애니메이션 | 00:29:57 | 연출 오재형, 임영희
시놉시스
진도에서 태어나 광주로 유학 온 이야기, 성인이 되어 광주5.18을 겪은 이야기, 노년이 되어 장애인의 삶을 살게 된 엄마의 이야기.
인권평
어둠을 헤치고 맞닿은 시간
‘양림동 소녀’
-은석 (예술행동 한뼘, 21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
영화는 주인공의 녹음 준비 장면을 잠깐 비추더니 피아노 소리와 함께 우리를 그림책 안으로 안내한다. 진도 옥주호를 타고 낯설기만 한 광주 양림동의 청소년 시절을 지나 보프룩 양림카페와 송백회의 청년기, 광주 5.18 한가운데를 따라가다 보면 노년의 주인공은 어느새 꿈많은 소녀 임영희가 되어있었다. 추억에 젖어 눈을 감아도 이야기는 멈추지 않고 만든이들의 소개까지 마치고 나면 영화는 ‘섬초롱꽃에 내린 아침 단비’처럼 반짝거리며 끝이 난다.
<양림동 소녀>는 같은 이름의 그림책 작가이자 주인공인 임영희, 주인공의 목소리 뒤로 배경처럼 피아노를 연주하던 오재형, 두 명의 감독이 연출한 작품이다. 소리를 그대로 옮긴 것 같은 자막은 그림책의 글씨가 되고 그림을 설명하는 것 같은 나레이션은 시절을 회상하는 누군가의 입담으로 펼쳐진다. 이런 점에서 <양림동 소녀>는 최근 본 어떤 영화보다도 ‘장애인접근성’이 자연스럽다. 누군가는 이 평이함이 ‘장애인접근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반문할 수 있겠지만 이는 오재형 감독이 <피아노 프리즘>(2021)에서 보여준 접근성에 대한 고민과 시도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열차가 어둠을 헤치고’
영화제 슬로건이 결정되자마자 <양림동 소녀>를 보게 된 건 행운이었다. 주인공 임영희는 광주에서 겪었던 ‘저항의 순간’들을 종이에 깊게 베인 살처럼 드러내다가 ‘우리가 이렇게 잘 싸웠노라’ 돌아보는 장면에서는 환희에 찬 모습으로 그려낸다. 시위대가 폭도로 몰리고 진압군에 의해 고립되는 대목에서는 ‘국가의 낙인’이 개인과 한 시대를 어떻게 유린하고 망가뜨리는지를 환기시킨다. 나치가 장애인을 세금 갉아먹는 존재로 낙인찍으며 학살을 해방이라는 이름으로 감행했듯, 광주의 시민군은 어느새 죽어 마땅한 폭도가 되었고 2023년 지하철 탑승 시위대는 시민의 출근을 볼모로 하는 파렴치한 ‘강자 집단’로 갈라치기 된다.
주인공을 포함한 뇌졸중 환자들이 단체로 카페에 갔을 때 사람들이 슬슬 피하더라는 말에서는 43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은 비장애인 중심의 한국사회 단면을 들춰낸다.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일상에 ‘되도록’ 보이면 안되는 존재, ‘가능하면’ 병원이나 시설에 있어야 하고 ‘웬만하면’ 허락되지 않은 교통은 이용하면 안되는 존재. 장애인을 동정과 시혜를 대상으로 바라보는 태도는 여기서 한 발짝이라도 어긋났을 때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을 쏟아내게 한다. ‘OO들, 집에서 편하게 있을 것이지 왜 나와서 XX이냐. 내가 출근 못하면 당신들이 책임질 거야?’ 단 한 번도 자유롭게 이동하고 노동하며 지역에서 함께 살아본 적 없는(살아갈 권리조차 주어지지 않은) 누군가의 요구에 이런 극단의 혐오가 나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회 깊숙이 자리 잡은 비장애인의 속도와 견고한 능력주의가 어디서 흘러나와 어디로 흘러가는지 우리는 세심히 들여다봐야 한다.
‘어둠 속 달을 가리키는 누군가의 몸짓’을 보고도 어둠도 달도 보려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권한다. 아니 어둠을 헤치며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권한다. ‘섬초롱꽃에 내린 아침 단비’처럼 반짝이는 당신의 시간을 응원하며, 어둠을 헤치고 맞닿을 우리들의 시간을 응원하며,
제작진 소개
연출 | 오재형, 임영희 | 기획 | |
제작 | 각본 | ||
촬영 | 오재형 | 편집 | 오재형 |
녹음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