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네 옆에 있어

감독 여인서 | 2023 | 다큐 | 26분 46초 


  • 배리어프리 ⭕

시놉시스

발달장애 청년들과 비장애 예술가들이 모여 연극을 만들기로 한다. 포유류 동물들을 좋아하는 청년 ‘냐옹이’가 쓴 이야기에 살이 붙고, 피아노를 좋아하는 청년 ‘피아노’의 연주로 연극이 풍성해진다. ‘차니’, ‘혜정’, ‘마카롱’ 역시 주인공이 된다. 그런데 연극 만드는 과정이 썩 순탄치 않다. 냐옹이는 대본이 자꾸만 수정되는 상황이 못마땅하고, 연극을 총괄하는 비장애 예술가들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소통 방식이 필요하다는 걸 깨닫게 된다. 열 번의 워크샵과 두 번의 공연을 통해 연극 <메마른 땅 위의 동물왕국>은 완성될 수 있을까?


인권평

-이정한 (22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

 

‘연기’를 한다는 것은, 나 자신이 아닌 무언가를 ‘가짜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배우는 숨기는 게 없어야 연기를 잘할 수 있다. 연기는 있는 그대로를 표현함으로써 완성된다는 격언처럼 냐옹이와 피아노와 혜정은 극을 만들어 보인다. 배우는 자기 자신을 온전히 드러냄으로써 연극을 완성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메마른 땅 위의 동물왕국>은 각자의 개성과 정체성을 드러냄으로써 완성한다. 그러므로 연기는 고유성으로 완성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나는 나다’라는 극 중 노래의 가사처럼, <메마른 땅 위의 동물왕국>은 각자의 정체성을 열렬히 드러내는 것이 곧 극의 완성도를 높이는 길임을 잘 보여 준다. 우리는 연극이 아니라 그 연극의 제작 과정을 다큐로 보지만, 이 연극이 얼마나 값진 작품인지를 충분히 체험할 수 있다.

 

한편, 다큐멘터리 <지금 네 옆에 있어>는 있는 그대로가 아닌 무언가의 관점 속에 만들어진다. 연기에 대한 앞선 격언을 비틀어 생각하자면, 좋은 다큐멘터리는 어떤 기획과 의도 속에서 완성된다. 의도된 기획으로 만들어진 서사라고 결코 가치가 훼손되지 않는다. <지금 네 옆에 있어>를 보며 각자가 느끼는 조마조마함들이 있다. 마이크를 빼앗거나 사과를 쉽게 받아주지 않는 모습에서 불안함을 느끼는 사람, 예상 못 한 대답에서 다가오는 당혹과 생각 못 한 행동에 느끼는 반가움은 저 먼 곳의 이야기가 아니라 내 공간-내 가족-내 동료들의 이야기다. 그러므로 다큐멘터리는 고유해 보이는 인물들을 보여 주지만 사실은 이 인물들의 이야기가 보편적 서사임을 알린다. 개별성 위에 자리한 보편성 속에서 우리에게 다가온다. 저 먼 곳의 ‘A 씨’와 ‘B 씨’의 이야기가 아니라 ‘너’와 ‘나’의 이야기로 변모하고, 나와 가족과 친구와 노동자의 이야기로 변모한다. 그래서 이들은 말한다. 그림을 그리고 악기를 연주하고 이야기를 만들며, ‘나는 지금 네 옆에 있어’라고.


한편 아령의 비중이 다소 커 보이는 것은 조심스럽다. 자칫 잘못하면 무게중심이 비장애인으로 쏠릴까 걱정이 있다. “I won't give up, no, I won't give in.”의 화자가 우리 모두가 아니라 아령 개인의 말처럼 여겨질 수도 있다. 포기하지 않겠다는 그 다짐의 말이 분투하며 살아가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그 동료들이 아니라 조력인만의 말이 되면 구도는 전혀 달라진다. 이런 여지는 아령이 연극에 깊이 참여하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그렇다. 조력자로서 그만의 분투가 분명 있었을 것이기에, ‘주변인의 고생’으로 오인될 여지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데, 오히려 배우이자 당사자들의 이야기가 온전하게 드러나며, 주변인은 그저 주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모두의 탄탄한 배역으로 엮인 이 다큐를 보다 보면, 이것이 다루는 이야기가 특정한 누군가의 것이 아니라 극을 만들어가는 모두의 것이며, 또한 이를 통해 감정을 나누는 모든 관객의 것임을 충분히 체험할 수 있다. <지금 네 옆에 있어>의 조곤조곤함이 오히려 우리를 떠안는 넉넉함인 셈이다.

발달장애인 세상을 뒤집자

감독 안창규 | 2023 | 다큐 | 9분 | 기획·제작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대항로영상활동가모임


  • 한글자막 ⭕

시놉시스

피플퍼스트 활동가 내 삭발자를 중심으로, 활동가들이 지하철 투쟁에 함께 하게된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발달장애인이 투쟁할 때_2022 420 투쟁일기

감독 김하은, 추병진 | 2022 | 다큐 | 24분 46초


  • 배리어프리 ⭕

시놉시스

“발달장애인 세상을 뒤집자!” 

2022년 3, 4월 피플퍼스트성북센터 활동가 기백, 지연, 태준과 동료들이 장애인차별철폐를 위한 투쟁에 나섰다. 발달장애인 모두가 자유롭고 당당하게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싸우는 활동가들의 첫 420투쟁일기.


인권평

발달장애인이 이동권 투쟁에 참여하는 방식('발달장애인이 투쟁할 때' 인권평)

-유지영(21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프로그램위원)

장애인권리예산 보장을 위한 출근길 지하철 투쟁을 담은 보도사진을 먼저 떠올려본다. 늘 보도사진 속에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전면으로 등장한다. 오랜 시간 이어진 장애인권리 투쟁이니 신문이나 방송에서 한 번쯤은 보았을 누구나 예측 가능한 장면이다.

그렇다면 이런 장면은 어떨까? 사무실 탁자를 빙 둘러 모인 발달장애인들이 투쟁에 결합하기에 앞서 투쟁 현장에서 나올 법한 어려운 단어를 숙지하고 노동권을 비롯한 발달장애인의 의제를 논한다.

발달장애인의 투쟁은 그렇게 시작된다.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미처 보이지 않았던 장애인권리 투쟁의 풍경을 다르게 보도록 만드는 것. 그것은 피플퍼스트성북센터에서 만든 ‘발달장애인이 투쟁할 때’라는 영상물이 주는 힘이다. 그간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존재하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영화의 커다란 역할 중 하나다. 영화는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투쟁에 어떻게 스며들어 나름의 투쟁을 전개해 나가는지를 보여준다.

다만 영화에 아쉬움이 없지는 않다. 투쟁 현장을 중심으로 조명하는 영화는 그 장면과 장면 사이가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고 자주 툭툭 끊어진다. 관객은 영화에 소개되는 발달장애인 활동가들의 면면도 이름을 제외하고는 미처 제대로 알지 못한 채로 끝나고 만다.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발달장애인 의제 역시 영화에서는 발언 한 줄만으로 나열되고 바로 사라지는 듯하다.

다만 이제 시작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피플퍼스트성북센터에서 활동가들이 지난 2022년 뭉쳐 만든 4.20 투쟁일기라는 첫 영상이 제21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스크린에 올랐다. 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두 번째 투쟁일기와 세 번째 투쟁일기를 기대해본다.

일곱빛깔 무지개

감독 엄현정 | 2018 | 다큐 | 21분


  • 배리어프리 ⭕

시놉시스

발달장애인들의 일상은 어떨까? 무지개가 일곱 빛깔을 띠고 있는 것처럼 발달장애인 7명의 일상을 살펴본다. 조금 느리지만 성장해가고 있는 ‘한별’ 씨, 복지관의 노래교실을 가장 좋아하는 밝고 긍정적인 ‘지연’ 씨, 매일 출퇴근을 할 때 지하철을 타고, 모형 지하철을 만드는 기관사가 꿈인 ‘용상’ 씨, 비록 몸은 약하지만 즐겁게 삶을 살아가는 ‘수정’ 씨, 국가대표 조정 선수가 되는 것이 꿈인 열정 넘치는 ‘지훈’ 씨, 작지만 튀어나온 이 덕분에 활짝 웃는 것처럼 보이는 ‘근혁’ 씨, 영화관에서 일하며 세계여행을 꿈꾸는 ‘승주’ 씨까지... 다양한 발달장애인의 일상을 보면서, 발달장애는 멈춘 것이 아니라, 느릴 뿐이라는 것, 느리지만 조금씩 성장해나간다는 것, 장애에 대한 차별이나 편견 없이 그냥 있는 그대로 봐주고 응원해 주기를 기대해본다.


인권평

김미현 | 심사위원

이 영화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부모들이 나오는 이야기 영화이다. 저도 그렇게 생각을 했으니, 아마도 관객분들도 영화를 볼 때 뻔한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 있는 영화이다. 근데 영화를 보다보면 발달장애인이라는 장애명은 같지만, 개인마다 다른 부분들이 존재하는 걸 알 수 있다.그게 그들만의 매력이다. 그 매력을 알게 되는 순간 그들만의 빛이 우리에게 보인다.난 이 영화를 보면서 마치 비 오는 날 하늘에 그려지는 일곱 빛깔 무지개를 보는 듯했다. 아마! 이 사회가 그 빛을 그대로 받아준다면. 그들의 빛은 더 빛나고 아름다워질 것이다.이 영화를 보시는 분들은 단순히 영화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들 내면의 빛을 느끼면서 무지개를 보셨으면 좋겠다. “어느 누구도 배제 받지 않는 세상을 위해 이 빛은 빛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