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기획작
<우리는 권리를 생산하는 노동자입니다>

우리는 권리를 생산하는 노동자입니다 | 2024 | 17’ 32“ | 다큐 | 황나라
시놉시스
여기 꿋꿋하게 노동의 현장을 지키는 노동자들이 있다.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출근하는 노동자들은 저마다의 힘듦이 있지만 노동할 수 있다는 사실 만큼은 소중하게 생각한다.
“캠페인도 일이다” 두리센터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노동자 대혁은 밖에서 ‘장애인도 시민으로’라는 구호를 외치고 권리를 알리는 본인의 일이 즐겁다.
“데모는 힘들지만 사람들 만나서 좋아요” 노동자 은영은 더운 날 거리에 나가 캠페인하는 일은 힘들지만 출근해서 직장동료를 만나고 교제하는 것을 좋아한다.
“집에서 텔레비전보는 건 심심해요”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통해 처음으로 직장을 다녀본 지영은 집 밖으로 나와 출근한다는 게 행복하다.
“권익옹호 활동과 장애인식개선을 합니다” 민재는 말수는 없어도 자신의 노동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지하며, 꾸준히 노동하고 싶다는 분명한 의사가 있다.
인권평
서한영교 (2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
-니가?
“집에 있었어요. 집에. 테레비. 봤어요. 테레비. 하루 종일 텔레비 보는 게 일이죠. 뭐, 너무 심심해서요 뛰쳐나가고 싶은데, 엄마가 막아서 못 갔어요.”
영화에 등장하는 노동자 지영씨는 말했다. 맞다. 숱하게 들어왔다. 몸도 안 좋은데 그냥 집에 들어가 있어라, 주변사람들에게 폐 끼치지 말고 가만히 있어라, 는 저주를 자주 들어왔다. 가만히, 조용히, 얌전히 방구석에 시설 구석에 처박혀 텔레비전나 보며 히히히 거리고 있으라 했다. 지영씨 엄마뿐만이 아니라 온 사회가 장애인들을 막아섰다. 버스, 학교, 열차, 은행, 비행기, 편의점, 식당, 카페 곳곳에 문턱을 세워 장애인들을 턱턱 막아섰다. 장애가 있는 지영씨가 ‘테레비‘ 밖으로 , 현관 문턱 밖으로 나가서 노동한다고 했을 때, 동생은 말했다. “니가?“
-이게?
경제적 ‘쓸모‘를 떠받드는 근대경제학은 장애인을 ‘노동할 수 없는 사람들‘로 규정했다. 그 견고한 역사 속에서 장애인의 노동은 언제나 “니가? 일한다고?“ 라는 반문을 마주해야 했다. 장애인의 노동은 ‘사랑이 가득한 일터‘로 포장된 재활노동(보호작업장)이거나, 시혜적 복지노동(공공노동)이거나, 노예노동(염전, 쓰레기장, 개농장, 양식장)으로 연상되었다. 그런데, <우리는 권리를 생산하는 노동자입니다> 영화 속 노동자들의 노동은 이게? 이런게? 노동이라고? 질문하게 한다. 맞다. 비장애인들이 겪어온 노동의 긴 목록들 중에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수행하는 노동을 노동이라고 불러본 적 없다. 동네시장에 나가 상인들에게 UN장애인권리협약문을 전달하고, ‘차별 없는 명절 맞으세요‘ 인사하며 평등캠페인을 진행하고, 북치고 노래하며 공연노동을 수행하고, 그림을 그리고 발표하는 일을 두고 “이것도 노동이다”라고 할 때 , 다소 당황할 수 있다. 맞다. 기존 노동을 의아하게 만드는 노동, 노동의 개념에 도전하는 노동, 장애를 둘러싼 사회적 감각의 배치를 이동시키는 노동, 바로 “권리를 생산하는 노동“이다.
-이것은 복숭아입니까?
이것은 “황도 복숭아입니다“ 영화 속 노동자 민재 씨는 분홍과 노랑, 주황과 하양의 색깔들이 서로를 침범하며 번져있는 그림을 쥐고서 말한다. 이것은 복숭아이고, 이것도 노동이다. 하지만, 영화는 이를 입증하려 들지 않는다. 다만, ‘권리와 투쟁‘으로 빚어낸 중증장애인 노동의 가능성을 한 장면, 한 장면 조각모음하듯 배치한다. 극복-재활-보호 노동에서는 등장할 수 없는 권리중심-중증장애인의 노동 속에 잠재되어 있는 이야기와 이미지의 가능성을 우리에게 한 조각, 한 조각 보여준다. 영화는 관객들로 하여금 저마다의 경험과 느낌들을 조각모음하며 각자의 질문을 조직하게 한다. 복숭아란? 노동이란? 생산이란? 예술이란? 권리란? 어떤 것인가?
머릿속을 떠들썩하게 한다. 세상을 바꾸는 권리중심 노동은 기존에 익숙한 장애/비장애를 둘러싼 언어의 배치를 떠들썩하게 한다.
-떠들썩 노동
“풍악을 울려라 온 세상 떠들썩하게” 영화 속 노동자 대혁씨는 북을 치며 노래한다. 대혁씨의 노래 가락에 맞춰 중증장애인들의 노동이 전국방방 곳곳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서울에서 시작된 <서울형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는 경기, 경남, 강원, 전남, 전북, 인천, 광주 서구, 춘천, 제천, 부산...전국 각지로 떠들썩하게 번져나가고 있다. 권리중심 노동은 유례없는 미래를, 전례 없는 노동을 수행해 나가며, 견고한 현재를 이동 시켜나가고 있다.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비장애중심 ‘노동’에 포함(인정, 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다층적 시민-존재자들의 ‘고유함’을 바탕으로 둔 노동, 권리를 옹호하는 노동,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는 노동, 권리를 생산하는 노동을 통해 “온 세상 떠들썩하게“ 질문하고 있다. 이 떠들썩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이가 있다. 바로, 오세훈 서울시장이다. 최중증장애인노동자 400명을 일시에 해고한 것이다. 영화 속 노동자 대혁씨는 권리중심일자리를 폐지한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조언한다. “없애지 말고요. 키우세요. “대혁씨는 덧 붙인다. “오세훈 시장은 뭐였지? 오세훈 시장은 건강하게 살아라! 오세훈 시장은 퇴진하라! 투쟁!“ 이제, 온 세상 떠들썩하게 최중증장애인노동자 해고복직투쟁의 풍악이 들리는 듯도 하다. 풍악을 울려라 온 세상 떠들썩하게 “투쟁!“
제작진 소개
연출 | 황나라 | 기획 | 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
제작 | 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각본 | 황나라 |
촬영 | 황나라 | 편집 | 황나라 |
녹음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