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기획작

<만나다 배우다 얻다>

만나다 배우다 얻다 |2024 | 23’ 51“ | 다큐 | 황나라




 

시놉시스


“나는 그냥 학교에 안 가는 건가보다 했어요”

학교에 데려가는 사람이 없어 오랜 시간 집 지키는 사람으로 살았던 장애인이 있다. 야학은 단순히 장애인이 공부하는 건물을 넘어 사람을 만나고 사람을 배우고 사람을 얻는 공간으로 발전한다. 그 과정에서 전국의 야학을 구성하는 행위자들이 있다. 공간, 사람 그리고 예산과 법. 장애인 야학을 꾸려나가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남’, ‘배움’, ‘얻음’.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들어보자.




인권평

- 정성철 (2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


교육은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해 다양한 것들을 배우는 과정이자 수단이다. 국가는 구성원들에게 교육의 의무를 수행해야 하고, 사회에서 교육은 권리라고 쓰고 읽힌다. 한국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고등교육 이수율과 대학 진학률이 높아졌음에도 교육권이 모두에게 작동하지 않는 나라다. 가난한 집 그리고 여성의 경우 초등교육조차 받기 어려웠던 삶은 서적 속 역사가 아니라 지금 우리 곁에 존재하는 이들이 겪어 온 일상이다. 그리고 그 가장 아래에 장애인 교육권이 위치해 있다. 무상교육이 확대되어왔음에도 여전한 시설 중심의 복지체계로부터 장애인은 교육받을 권리를 박탈당한다. 가족에게 맡겨진 돌봄과 입시 중심의 교육체

계는 장애인을 교육의 현장 바깥으로 밀어낸다.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20주년을 맞아 제작된 <만나다 배우다 얻다> 영화는 장애인 야학의 일상을 통해 교육이 다양한 사람을 만나서 깨지고 배우며 나와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에 자신을 위치시키는 수단임을 보여준다. 또 입시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에 담긴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따라가다 보면 활동지원사, 장애인콜택시, 엘리베이터와 같이 진보적 장애운동이 성취해 온 성과를 엿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국가와 사회가 제공하지 않은 지역사회 내 장애인의 공간을 만들기 위한 작은 움직임들이 만나서 확장하고 연결되어 부족하나마 지금에 이르렀다. 장애인 야학에 학생으로 나왔던 이들이 진보적 장애운동의 활동가로 역할하며 사람과 공간을 넓혀왔기에 가능했다. 이 싸움을 따라가다 보면 언젠간 시설이 없어지는 날, 장애 유무를 막론하고 지역사회에서 모두가 함께 교육받는 날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또 언젠간 무한경쟁과 각자도생을 요구하는 주류 교육질서에 작게나마 균열을 내는 순간도 마주할 수 있지 않을까.




제작진 소개


연출황나라
기획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제작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각본황나라
촬영황나라
편집황나라
녹음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