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선정작

<홀라당 넘어간>

홀라당 넘어간 | 2024 | 17’ | 극 | 유정우



 

시놉시스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돌보며, 본인의 조현병까지 잘 극복해오던 경미. 그런 그녀에게 어느 날, 정말 필요했던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온다. 하지만 곧이어 사기를 당한 듯한 불안감에 휩싸인다.

무너질 듯 흔들리는 마음으로 경미는 그리다센터의 문을 두드리고, 따뜻한 동료들과 함께 복잡한 감정의 소용돌이 속으로 들어간다.




인권평

-최한별 (2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

 

 

진보적 장애운동에서 가장 싫어하는 게 무엇인가. 하나만 꼽기 어렵지만, 그 중 하나에 ‘의료적 모델’이 반드시 들어간다는 말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장애를 ‘치료되어야 할 질병’, ‘비정상의 상태’로 규정하는 시도들을 반대한다. 우리의 몸과 정신은 지금 이대로도 완전하며, 바로잡아야 할 것은 우리가 아니라 손상없는 몸과 마음에만 기준을 둔 비장애중심적 사회이다. 이런 주장을 ‘사회적 모델’이라고 부르는데, 이렇게 수십년간 사회적 모델에 기반해 활동해오던 우리 안에서 “근데 사실 제가 아파서 힘들긴 한데요”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손상때문에 생기는 아픔, 증상들을 이야기하는 것이 자칫 ‘그래서 결국 장애를 가진 상태는 문제’라는 ‘자백’처럼 들릴까 조마조마한 건 여전히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장애를 둘러싼 다양한 담론이 등장한다는 것은 분명 우리가 다음 장을 향해 잘 나아가고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영화 ‘홀라당 넘어간’은 바로 이 지점에 서있다. 사회적 문제(가족 돌봄 부담, 경제적 어려움 등)를 겪는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증상이 발현 또는 심화되는 과정은 사회적 모델에 기반해 있고, 증상의 재발로 인해 우울해하고 고통스러워 하는 당사자의 심리는 의료적 모델에 기반한 걸로 보여지기도 한다. 그러나 영화는 여기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스트레스와 증상의 심화로 인해 고통받는 당사자를 진정으로 도울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람, 관계, 공동체라는 메시지를 향해 서툴지만 확실하게 나아간다.

 

이 메시지가 우리 사회에 유의미한 이유는 무엇보다 그것이 당사자들의 목소리이기 때문이다.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원하는 것은 ‘홀라당 넘어간 마음’ 때문에 힘들고 혼란스러운 순간,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 머리를 맞대고 따뜻한 위로를 건네기도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이다. 무엇보다 그들 역시 홀라당 넘어간 마음을 갖고 있기때문에, 당사자의 마음과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위로도 조력도 제안도 당사자에게 힘이 된다. 즉, 힘있는 연대의 근거가 바로 홀라당 넘어간 마음인 것이다. 이 힘을 누가 함부로 ‘비정상’이라 말할 것인가.

 

2023년 기준 정신장애인은 약 10만명 이라고 한다. 10만 명이 고립만 되어 있다면10만 개의 외로움이 만들어질 뿐이지만, 이들이 서로 모인다면 10만 개의 연대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자꾸 정신장애인들이 서로 힘을 모으는 공간과 시간을 유지하기 위한 예산이 깎인다고 하니 걱정이다. 홀라당 넘어간 마음들의 연대를 허하라!




제작진 소개


연출유정우, 김수빈
기획

유정우

일산그리다마음건강센터 정신장애인 회원들

제작일산그리다마음건강센터
각본

유정우

일산그리다마음건강센터 정신장애인 회원들

촬영유정우
편집유정우, 김수빈
녹음유정우
기타